서울시 청년수당 사용처 및 사용방법 Q&A
서울시 청년수당을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 세부내용을 Q&A TOP14 형식으로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급
1. 서울시 청년수당 지급시기는 언제인가?
서울시 청년수당은 매월 29일에 지급됩니다. 그러나 지급일이 휴일인 경우 그 전날 평일에 지급됩니다.
2. 서울시 청년수당 지급기간은?
6개월 동안 지급됩니다.
사용처
3. 서울시 청년수당 사용처는?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상식적으로 취지에 부합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업기간, 활동 내용, 주요 사용 목적 등을 자기 활동기록서에 작성할 때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 사업취지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비용, 독서실비용 등 직접적인 구직활동 및 사회참여 활동에 들어가는 학원비용, 스터디룸 사용 비용, 식비, 간식비, 통신비, 교통비, 월세, 책 구입비, 공과금 납부 등
- 구직 및 사회활동 등 서울시 청년수당 목적 달성을 위해 구입하는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
- 학자금대출 이자 납입 가능
- 주거용 대출 이자 납입 가능
- 건강보험료 납입 가능
4. 서울시 청년수당을 사용할 수 없는 곳은?
- 국내라면 서울시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대한민국을 벗어나는 해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개인자산 형성을 위해 예금, 적금에 가입 불가
- 민간보험, 국민연금 납입 불가
- 기프티콘을 포함한 상품권 구입 불가
- 일반대출, 신용카드 대출 이자 납입 불가
- 사업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호텔, 주점, 카지노, 귀금속 등 77개 업종에서 사용 불가
사용방법
5. 서울시 청년수당 사용방법은?
- 사업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청년수당 사용을 제한하고 근거를 명확히 남기기 위해 카드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인터넷 결제 가능합니다.
- 모바일 페이 사용 가능합니다.
- 계좌이체, 현금인출 등 부득이 현금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자기 활동기록서 제출할 때 현금으로 사용한 총금액과 사용 목적 및 사용처를 기록해야 합니다.
- 현금으로 사용할 경우 현금영수증 및 일반영수증 등을 발급받아서 보관해야 하고 계좌 이체한 경우 이체내역을 캡처해야 합니다.
- 현금으로 사용한 경우 입증 가능한 영수증 등 증빙자료를 잘 보관했다가 소명자료 제출 요청 시 제출해야 합니다.
6. 서울시 청년수당을 현금으로 사용할 때 취할 수 있는 방법은?
- 인터넷 및 모바일 뱅킹으로 계좌이체 할 수 있습니다.
- 현금인출기(ATM)에서 현금인출 및 계좌이체 할 수 있습니다.
- 신한은행 창구에서 현금인출 및 계좌이체 할 수 있습니다.
7. 서울시 청년수당 카드결제 한도는 얼마인가요?
1일 600만원, 월 2,000만 원으로 기본 세팅되어 있고 본인이 원하면 카드회사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직접 한도를 올리거나 줄일 수도 있습니다.
8. 계좌이체 또는 현금인출 한도는 얼마인가요?
계좌이체는 하루 기준 30만원까지30만 원까지 할 수 있고 현금인출은 ATM기에서는 30만 원까지 가능하고 신한은행 창구를 이용할 경우 100만 원까지 할 수 있습니다.
9. 청년수당 통장에 내 돈을 추가 입금해서 사용해도 되나요?
청년수당 통장에 내 돈을 추가로 입금해서 청년수당으로 들어오는 금액과 합쳐서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청녀누당 전용통장과 전용 체크카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 통장에 청년수당으로 입금된 금액을 계좌 이체해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이월
10. 이월해서 사용해도 되나요?
지급받은 청년수당은 당월 소진이 원칙이지만 그 다음달로 넘길 수도 있습니다. 이월 작업을 위해 따로 신청해야 하는 사항은 없고 해당 월이 지나도 수당은 환수되지 않습니다. 다만, 이월될 경우 자기 활동기록서에 이월 목적과 사용 내용을 적어야 합니다.
11. 반납 및 환수
서울시 청년수당으로 지급받은 금액이 반납 내지 환수조치 될 수도 있나요?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전액 또는 일부금액에 대해 반납 및 환수조치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신청 대상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청년수당을 신청해 지급받은 경우
- 부당 수령한 경우
-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유사사업에 중복 참여한 경우
유사사업
- 국민취업지원제도 1·2 유형
- 실업급여
- 청년 내일 채움 공제
- 국가보훈처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 2022년에 국민 취업지원제도 1 유형에 참여한 이력이 있는 사람은 2022년에는 서울시 청년수당 사업 참여 불가
개인정보 변경
12. 이름을 바꿨는데 어디다 알려야 하죠?
개명한 경우 서울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이름을 변경하고 즉시 청년수당 콜센터 1566-3344로 전화해서 성명 이력이 기재된 주민등록 초본을 제출해 이름을 바꿔야 합니다.
13.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바뀌었습니다. 어디에 알려야 하나요?
휴대폰 번호, 이메일 변경, 주소지 이전인 경우 서울시 청년포털 사이트에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 청년수당> 신청인 정보'에서 변경 작업을 진행하고 Q&A 게시판에서 정보 변경 사항을 기재해 비밀글로 게시해야 합니다. 중요사항을 문자로 안내받아야 하기 때문에 연락처가 변경되면 즉시 갱신하시기 바랍니다.
14. 고용보험에 가입된 단기근로 직장을 구한 경우 어떻게 알려야 하나요?
서울시 청년수당 콜센터 1566-3344로 전화해 고지해야 하고 주 26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단기근로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로계약서 등 증빙자료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