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건증 발급 방법 3가지 장단점 비교

by 마스터앨 2022. 2. 15.

보건증 발급 방법 3가지 장단점 비교

 

 

 

보건증이 필요할 때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은 모두 3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보건소를 방문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보건증 검사를 해주는 일반병원을 찾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한국건강관리협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마다 어떤 차이점과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순서
1. 보건소 보건증 발급
2. 일반병원 보건증 발급
3. 한국건강관리협회 보건증 발급

 

 

1. 보건소 보건증 발급

 

 

 

- 장점 : 접근성 좋음, 저렴한 비용
- 단점 : 코로나 때문에 보건증 발급 업무 잠정 중단한 보건소가 많음, 시간이 오래걸림

보건증 발급 방법 첫 번째는 보건소를 방문해서 발급받는 것입니다. 보건소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을 때 장점은 2가지입니다.

 

첫 번째 장점은 접근성이 좋습니다. 전국 곳곳 보건소가 없는 곳이 없기 때문에 쉽게 보건소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보건소 위치는 아래 파일을 참고하세요.

 

전국+지역보건의료기관+현황_2019.6월말+기준.xlsx
0.28MB

 

두 번째 장점은 저렴한 비용입니다. 보건소 보건증 발급비용은 3천 원으로 일반병원과 비교해 10배 가까이 저렴합니다.

 

그러나 단점도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보건소 보건증 발급 업무가 잠정 중단된 것입니다. 코로나가 종식된 후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단점은 보건증 수령하기까지 공휴일, 주말을 제외하고 5일 정도 소요된다는 것입니다. 빠른 보건증 발급을 원하면 일반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2. 일반병원 보건증 발급

 

 

 

- 장점 : 보건소에 비해 신속 발급
- 단점 : 비쌈

보건소 보건증 발급 업무를 코로나로 인해 잠정 중단한 곳이 많아 일반 병원으로 발걸음을 돌려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겼습니다.

 

병원은 보건소보다 가격이 비쌉니다. 보건소에서 3천 원에 발급받을 수 있는 것을 병원에 가면 2~3만 원가량의 비용을 지출해야 합니다.

 

가격만 단순 비교하면 무려 10배가 넘는 가격차이가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병원마다 비용이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이보다 더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장점은 발급 기간이 빠르다는 것입니다. 혈액검사로 하면 빠르면 하루 만에도 가능할 수 있고 늦어도 3일 안에는 결과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발급은 안됩니다. 보건소에서 보건증 검사를 받으면 공공보건 포털 G-health에서 본인인증 후 인터넷 발급 가능하지만 개인병원은 이런 시스템이 없습니다.

 

 >> 보건증 인터넷발급 따라하기(+보건소, 한국건강관리협회)

 

 

3. 한국건강관리협회

 

 

 

- 장점 : 병원보다 저렴한 가격
- 단점 : 발급기간이 보건소와 비슷함

한국건강관리협회 보건증 발급은 보건소와 일반병원의 장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는 중간 선택지입니다. 비용 1만 원에서 1만 5천 원 사이로 보건소보다는 당연히 비싸지만 병원보다는 저렴합니다.

 

발급기간은 보건소와 비슷해 보건증이 급하게 필요한 분에게는 매력이 없습니다. 하지만 보건소에서 거절당하고 병원에서는 너무 많은 비용을 요구하는 것 같다면 한국건강관리협회 보건증 발급 선택지가 최선입니다. 그리고 병원에서는 받을 수 없는 인터넷 발급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보건소, 일반병원,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보건증 발급받을 때 경험할 수 있는 장단점에 대해 비교해드렸습니다. 취사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