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숙면을 위해 지켜야 할 수면 요령 9가지

by 마스터앨 2022. 3. 27.

평생 살면서 인생의 30% 이상을 잠을 자면서 보내기 때문에 양질의 삶을 위해서 수면은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정말 잘 잤다고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좀 더 상쾌한 몸과 정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숙면을 취하기 위해 지켜야 할 수면 요령 7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숙면을 위해 지켜야 할 수면 요령 9가지

 

1. 규칙적인 주간 운동 권장

사람의 몸은 햇볕을 받고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간에 알맞은 운동을 하는 것은 숙면에 도움을 줍니다. 주간에 햇빛을 받으며 하는 운동은 생체리듬이 잘 유지되도록 도와주고 긴장도 풀어줍니다. 그러나 잠자기 6시간 전에는 운동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잠자기 바로 전에 운동을 하면 말초신경이 자극을 받아 숙면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2. 선선한 실내온도 유지

잠을 잘 때 실내 온도는 평소보다 조금 낮게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잠을 자는 동안 체온이 약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평소 온도보다 높게 실내 온도를 유지하면 몸은 그에 맞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신진대사량을 늘려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늘게 되고 이것은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그러나 손과 발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한기를 잘 느끼는 체질인 사람들은 손에 장갑을 끼거나 발에 양말을 신는 방법으로 체온을 유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취침 전 음주 금지

술 한 잔 해야 잠을 잘 잘 수 있다는 핑계로 취침 전 음주를 즐기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술을 마시면 수면 무호흡증이 심해지고 아침에 조기 기상하게 만들어 숙면을 할 수 없게 만듭니다. 잠자기 전에는 속을 비워 자율신경계와 신체 장기가 음식을 소화시키느라 쉬지 못하게 만들지 말아야 잠을 잘 잘 수 있습니다.

 

4. 취침 2시간 전 음식물 섭취 금지

야식은 숙면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 하나입니다. 잠자기 2시간 전에는 취식 행위를 멀리해야 합니다. 그래야 몸과 마음이 올바르게 숙면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잠자기 전 음식물을 먹는 행위는 심장과 말초신경 같은 자율신경계가 자는 동안에도 계속 일아게 만들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취침을 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특히 맵고 짠맛이 나는 자극적인 음식은 위장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5. 카페인 멀리하기

당연한 상식입니다. 카페인이 들어있는 커피와 차 종류는 잠자기 전에 마시지 않아야 숙면 할 수 있습니다.

 

6. 담배피우지 않기

금단증세 때문에 담배를 피지 않으면 잠을 잘 수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착각에 불과할 뿐입니다. 카페인과 마찬가지로 담배에 들어있는 니코틴 성분이 뇌를 깨워 숙면할 수 없습니다.

 

7. 스마트폰, 텔리비젼, 라디어 OFF

너무 시끄럽지 않은 정도의 백색소음은 수면에 도움이 된다는 잘못된 상식 때문에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켜고 자거나 스마트폰을 블루투스에 연결해 소리를 들으며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알고 있는 바와는 다르게 잠을 자는 동안 들리는 소리는 청각을 자극해 뇌를 각성상태로 만들어 숙면을 취할 수 없습니다.

 

뇌가 자극을 받아 수면이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인위적인 소리를 낼 수 있는 모든 장치를 OFF 한 상태에서 수면에 들기 바랍니다.

 

 

8. 휴일 늦잠 자지 않기

평소에 부족했던 잠을 몰아서 잔다고 휴일에 늦잠을 잡니다. 그러나 휴일에 자는 늦잠은 평일에 잠을 잘 수 없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토요일 주말에 늦잠을 자면 일요일 밤에 불면증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일주일 내내 깨진 수면 흐름 때문에 고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9. 짧은 낮잠 권장

길게 낮잠을 자면 밤에 잠을 자는데 방해가 되지만 20분 이내의 짧은 낮잠은 나쁘지 않습니다. 그래도 밤에 잠을 자는 시간을 뺏어간다는 낮잠의 본질적인 특성은 변하지 않으므로 짧게 주무시기 바랍니다. 낮잠을 너무 오래 자면 두통이 생길 수 있고 잠을 잔다고 해도 몸이 더 피곤해지기 때문입니다.

 

 

잠이 보약이라고 했습니다. 숙면을 위해 지켜야 할 수면 요령 9가지를 반드시 실천하셔서 무료 보약 많이 드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 가족돌봄휴가 사용하면 최대 50만원 지원 혜택

코로나 19 가족돌봄 휴가비용 긴급지원사업 실시 10일 동안 일 5만원 최대 50만 원 지원 혜택 <코로나19 가족돌봄비용 긴급지원 신청하세요> ●1일 5만원(최대 10일 지원) ●온라인 : 고용노동부 홈

healthdish.tistory.com

 

2022년 3월 16일 이후 격리통보자 코로나 생활지원금 지원대상 기준

2022년 3월 16일 이후 격리 통보자 코로나 생활지원금 지원대상 기준 2022년 3월 16일 이후 격리통보를 받은 코로나 환자 및 격리자에 대한 생활지원금 지원대상과 지급기준이 바뀌었습니다. 생각한

healthdish.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