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험 자주 묻는 질문 8가지
용어는 익숙하지만 구체적으로 산재보험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맛보기로 자주 묻는 질문 8가지를 정리해보았으니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1. 어느 정도 다쳐야 산재처리가 되나요?
4일 이상 치료를 요하는 경우라면 산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2.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학생인데 산재신청을 할 수 있나요?
학생, 나이에 상관없이 산재신청은 할 수 있습니다.
3. 사업주가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고가 났습니다. 산재신청을 할 수 없는 건가요?
사업주가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근로자는 산재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근로자에게는 아무런 불이익 없이 산재처리가 가능하지만 사업주의 경우 급여징수금을 내야 합니다.
4. 일하다가 다쳐서 알바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산재보상 처리를 받을 수 있나요?
근무하는 동안 발생한 업무 관련 사고로 인해 부상당한 경우 일을 그만두었어도 산재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산재보험 적용을 받으려면 반드시 사업주 확인을 받아야만 하나요?
산재신청서는 근로자가 신청하기만 하면 됩니다. 별도로 사업주 확인 절차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신청서와 소견서를 제출하면 공단에서는 사업주 의견 청취 후 산재여부를 결정합니다.
6. 출퇴근 중 일어난 사고에 대해서도 산재처리가 가능한가요?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는 도보, 자차, 버스, 택시 같은 대중교통 이용 등 교통수단에 관계없이 산재보상이 가능합니다. 단, 아래 3가지 요건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 취업과 관련될 것
▶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이동 중 발생한 사고 일 것
▶ 경로를 일탈하거나 중단하지 않을 것
7. 외국인 일용직 근로자도 산재보험 신청을 할 수 있나요?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외국인 일용직 근로자도 국적이나 정규직 여부에 관계없이 산재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상시근로자가 1인 미만인 사업장이거나 소규모 건설공사 등 산재보험 당연 가입 사업장이 아니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8. 산재보험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나요?
산재보험 처리로 받을 수 있는 급여에는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간병급여, 유족급여, 상병보상연금, 장례비, 직업재활급여 까지 총 8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산재보험 자주 묻는 질문 8가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