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치매1] 잘못알고 있는 치매관련 상식 10가지

by 마스터앨 2022. 3. 16.

오해하고 있는 치매상식 10가지

치매에 대해 막연하게 잘못 알고 있는 상식 9가지를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내용을 확인하시고 올바르지 못한 치매상식을 바로잡아보시기 바랍니다.

 

나무에 기대고 있는 남자 뒷모습

 

1. 노인은 누구나 치매에 걸린다

노인이 되었다고 해서 필연적으로 치매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2. 치매는 노인에게만 발병한다

그렇지 않습니다. 노화로 인해 노인에게 치매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생물학적 결과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노인에게만 치매가 발병하는 것은 아닙니다.

 

3.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은 같은 것이다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같은 것으로 오인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이 치매의 50%가량을 차지하는 주요 원인인 것은 맞지만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치매가 발병하기도 합니다.

 

4. 치매환자는 위험인물이다

치매환자의 이상 증상과 공격적인 언사 및 행동으로 인해 치매환자를 위험인물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가 폭력적이고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5. 치매환자는 인지능력이 없어져 아무것도 모른다

아무것도 모르는 것 같지만 기억이 모두 사라지고 감정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경우는 드뭅니다. 특히 초기 치매 환자의 경우에는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큰 지장이 없고 말기 치매환자도 기본적인 감정은 남아있습니다. 그러므로 치매환자라고 해서 함부로 대하면 큰 실수하는 것입니다.

 

6. 몇 가지 검사만 하면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

몇 가지 병리학적 검사만 가지고 치매를 단정할 수 없습니다. 의사의 임상적 판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7. 치매는 고칠 수 없는 질병이다

회복될 확률이 10~20%정도에 그쳐서 그렇지 일부 환자는 회복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조기에 발견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고 치매 환자의 공격적 이상행동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8. 치매환자는 노인요양병원 같은 시설로 가야 한다

모든 치매환자를 일률적으로 노인요양병원 같은 시설로 보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건만 된다며 가까이에서 가족이 돌보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시설에 들어가는 것은 환자 상태를 고려해 안전성 측면과 주위 사람들의 일상생활 정도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9. 건망증이 있으면 치매 초기 증상이다

치매 증상 중에 하나가 기억력 감퇴로 인한 건망증이긴 하지만 건망증이 있다고 치매로 곧 귀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인 건망증과 치매 증상은 구분해야 합니다.

 

10. 치매 예방약이 있다?

 

[치매2] 뇌 영양제 치매예방약 근거 없어

치매로 의심할 수 있는 10가지 초기 전조 증상 치매로 의심할 수 있는 10가지 초기 전조 증상 100세 시대에 접어든 지 오래되었지만 진정한 100세의 의미는 단순히 평균수명이 길어지는 것에 한정

healthdish.tistory.com

안타깝게도 치매를 예방하는 약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뇌 영양제'라는 솔깃한 이름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들도 치매예방을 할 수 있다는 명확한 근거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댓글